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영도구 제1선거구

덤프버전 :

||
파일:영도구_제1선거구8재.png
선거인 수47,255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영도구 일부
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동, 봉래1동, 봉래2동, 청학1동
시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안성민 (4선)




1. 개요[편집]


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영도구 서부 지역을 관할한다. 교량을 통해 원도심 지역으로 이어지는 곳이다.

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임에도 불과하고 각종 조선소들이 있는 영향으로 부산 안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비교적 있는 지역구 중 한 곳이 되었다. 하지만 여느 부산의 지역구가 그리 하듯이 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국민의힘 계열 후보가 당선되었던 명백한 보수 우위의 지역구이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영도구 제1,2선거구
제2대이영
ta-hash-start=w-30777b47a2424ff255c03b17a3d0fca7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1995년 7월 1일 ~ 1996년[1][2]
유정동
ta-hash-start=w-e05ef70d08ce2a88443d3265d033fb1d[[파일: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.svg
1996년 7월 12일 ~ 1998년 6월 30일
이종억
ta-hash-start=w-9782c50d0c747e4c0be05fc786a7709c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1995년 7월 1일 ~ 1998년[3][4]
영도구 제1선거구
제3대이영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5]
제4대2002년 7월 1일 ~ 2004년 2월 15일[6][7][8]
안성민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4년 6월 6일 ~ 2006년 6월 30일
제5대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
제6대2010년 7월 1일 ~ 2011년 12월 20일[9][10][11]
황보승희
ta-hash-start=w-6148e8b84fe5fff8ef0a9791eb75d0e7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2년 4월 12일 ~ 2014년 6월 30일
제7대2014년 7월 1일 ~ 2018년 3월 20일[12]
제8대고대영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
제9대안성민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1선거구
대교동, 대평동, 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3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이영(李英)-1위

ta-hash-start=w-c4a215133d24223a0bb308787ac7b7f5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영도구 제2선거구
신선1동, 신선2동, 봉래1동, 봉래2동, 봉래3동, 봉래4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종억(李鍾億)16,9901위

ta-hash-start=w-0bd01246cccf3f8247d3c5bd82ae24e3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60.66%당선
2김우암(金又岩)8,6042위


30.71%낙선
3박이곤(朴貳坤)2,4143위

ta-hash-start=w-646c9941d7fb1bc793a7929328ae3f2f[[파일: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.svg
8.61%낙선
선거인 수45,392투표율
64.79%
투표 수29,410
무효표 수1,402

2.2. 1996년 재보궐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2선거구
신선1동, 신선2동, 봉래1동, 봉래2동, 봉래3동, 봉래4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유정동(劉正東)-1위

ta-hash-start=w-32b01d086a8a20b79989e18f64579664[[파일: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.svg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2.3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1선거구
동대신1동, 동대신2동, 동대신3동, 서대신1동, 서대신2동, 서대신3동, 서대신4동, 부용동, 부민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영(李英)25,599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77.72%당선
2정동철(鄭東哲)7,3362위

ta-hash-start=w-59225c895ad22cbc93691d496b64aa61[[파일: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.svg
22.27%낙선
선거인 수74,492투표율
45.60%
투표 수33,969
무효표 수1,034

2.4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1선거구
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1동, 신선2동, 신선3동, 봉래1동, 봉래3동, 봉래4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영(李英)25,860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84.78%당선
3한영중(韓永中)4,6402위

ta-hash-start=w-1e5186bca8f75fca53960e8cb4a3b973[[파일: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.svg
15.21%낙선
선거인 수69,931투표율
46.07%
투표 수32,222
무효표 수1,722

2.5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1선거구
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1동, 신선2동, 신선3동, 봉래1동, 봉래3동, 봉래4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정창범(丁昌凡)6,3982위

ta-hash-start=w-74633dc3ab2e714eeba0bd6624b0799d[[파일:열린우리당 로고타입.svg
20.34%낙선
2안성민(安成民)19,2481위
61.21%당선
4최성용(崔聖龍)4,4783위
14.24%낙선
6주대원(朱大源)1,3174위
4.18%낙선
선거인 수65,228투표율
49.45%
투표 수32,261
무효표 수820

2.6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1선거구
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동, 봉래1동, 봉래2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안성민(安成民)15,4121위
55.22%당선
2정창범(丁昌凡)12,4973위
44.77%낙선
선거인 수59,777투표율
47.95%
투표 수28,664
무효표 수755

2.7.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1선거구
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동, 봉래1동, 봉래2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황보승희(皇甫承希)17,5361위
58.47%당선
2박상현(朴相炫)12,4542위
41.52%낙선
선거인 수58,990투표율
52.48%
투표 수30,960
무효표 수970

2.8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1선거구
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동, 봉래1동, 봉래2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황보승희(皇甫承希)20,4491위
72.98%당선
3박용찬(朴容贊)7,5702위
27.01%낙선
선거인 수55,974투표율
51.58%
투표 수28,876
무효표 수857

2.9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1선거구
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동, 봉래1동, 봉래2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고대영(高大英)12,8251위
46.37%당선
2이경춘(李慶春)11,8732위
42.93%낙선
6정창범(丁昌凡)2,9563위
10.68%낙선
선거인 수50,444투표율
56.41%
투표 수28,459
무효표 수805

2.10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영도구 제1선거구
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동, 봉래1동, 봉래2동, 청학1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철우(李哲宇)9,1932위
38.91%낙선
2안성민(安成民)14,4331위
61.08%당선
선거인 수47,255투표율
51.51%
투표 수24,342
무효표 수716
더불어민주당에서는 고대영 시의원이 비교적 지지세가 더 나은 옆 지역으로 옮겨 출마하며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.[13] 중구·영도구 지역위원회 법률자문을 맡고 있는 이철우 부산영도경찰서 수사민원상담변호사가 단수공천을 받았다.

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구에서 3선을 역임하고 직전 선거에서 바른미래당 후보로 구청장 선거에 출마했다 낙선한 안성민 전 시의원이 4선에 도전한다. 당선될 시 현역 중에서는 최다선 의원이 된다.

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:1구도가 형성되었다.

개표 결과 국민의힘 안성민 후보가 22%p 정도의 격차로 10여년 만의 원내 복귀를 확정지었다. 세부적으로 보면 봉래2동에서 이철우 후보가 43.8%를 얻으면서 안성민 후보의 60% 득표를 저지하며 가장 적은 격차를 보였다. 하지만 봉래1동, 영선1동, 청학1동에서 안성민 후보가 61%대를 얻었으며, 달동네인 신선동에서 62.3%, 육지 원도심과 이어진 남항동에서 64.9%로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.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3 : 47로 불과 6%p차로 접전 양상을 보이며 이철우 후보가 상당히 선전하였다.


[1] 15대 총선 영도구 지역구 출마를 위해 사직.[2] 영도구 제1선거구 (대교동, 대평동, 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3동)[3] 2회 지선 영도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4] 영도구 제2선거구 (신선1동, 신선2동, 봉래1동, 봉래2동, 봉래3동, 봉래4동, 청학1동)[5] 영도구 제1선거구 (대교동, 대평동, 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1동, 신선2동, 신선3동, 봉래1동, 봉래2동, 봉래3동, 봉래4동, 청학1동)[6] 17대 총선 영도구 지역구 출마를 위해 사직.[7] 영도구 제1선거구 (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1동, 신선2동, 신선3동, 봉래1동, 봉래3동, 봉래4동, 청학1동)[8] 1998년에 대교동과 대평동이 남항동에 통합되었으며, 봉래2동이 봉래1동에 통합되었다.[9] 19대 총선 영도구 지역구 출마를 위해 사직.[10] 영도구 제1선거구 (남항동, 영선1동, 영선2동, 신선동, 봉래1동, 봉래2동, 청학1동)[11] 2007년에 신선1,2,3동이 신선동으로 통합되었으며, 봉래3,4동이 봉래2동으로 통합되었다.[12] 7회 지선 영도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13] 막상 현역이였던 박성윤 시의원이 구청장에 출마를 도전하며 무주공산이 되었던 곳이였음에도 박상현 전 부산항보안공사 부사장에게 경선에서 패하며 낙동강 오리알이 되었다.